전국 등산 지도 모음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서울,경기도 수락산 불암산 강원도 능경봉 충청남도 무성산 충청북도 소백산 경남, 경상북도 팔공산 전남, 전라북도, 제주도 한라산
전국 등산지도 |
|
200백대 명산 등산지도
가 |
|
나 |
|
다 |
|
마 |
|
바 |
|
사 |
|
아 |
|
자 |
|
차 |
|
타-파 |
|
하 |
|
등산용어
[골산[骨山] 바위나 돌이 많은 산. 설악산이나 북한산, 주왕산 등.
[기점] 등산로가 시작되는 지점.
[너덜] 돌이 많이 있는 비탈. 너덜겅.
[능선] 길게 이어진 산의 줄기.
[담潭] 물이 고인 깊은 웅덩이.
[등날] 등줄기에서 가장 높은 부분으로 이어진 선.
[러셀] 눈을 헤치고 나아감
[로프] 밧줄. 전문암벽용은 최소 길이가 40m이고 지름이 10~11mm로 굵지만
아마추어용은 20m에 7~8mm가 적당하다.
[릉] 능선의 준말. 공룡릉=공룡 능선.
[리지ridge] 바위능선.
[모듬] 약초꾼들이 묵던 산중 움막집. 대개 골짜기 상류부에 있다.
[백두대간白頭大幹] 한반도의 근간을 이루는 산줄기. 우리 고유의 산줄기 개념인 산경표에
나오는 용어이자 개념이다. 백두산에서 금강산, 설악산, 소백산, 지리산으로 이어지며,
정맥으로 다시 나뉜다. 산맥은 일제때 지질구조에 따라 설정한 산줄기 개념이다.
[비고比高] 어떤 범위 안의 최고 높이와 최저 높이의 차. 북한산 인수봉의 표고
(標高.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)는 810m, 비고는 약 200m다.
[비박bivwac] 불시(不時) 노숙. 산중에서 텐트 없이 자는 일.
[사면斜面] 산비탈.
[산판길] 벌채하기 위해서 널찍하게 낸 길. 대개 수렛길과 혼용.
[상봉] 그 산에서 가장 높은 봉. 설악산에서는 대청봉, 북한산 백운대,지리산 천왕봉이
상봉이다.
[소沼] 산중 계곡의 깊은 물이 고인 곳.
[소로小路] 산중의 좁은 길. 등산로는 대개 소로다.
[수레길] 수렛길. 수레가 다닐 수 있는 널찍한 산길.
[스패츠] 등산화 안에 눈이 들어가지 않게 차는 각반.
[슬랩slab] 경사진 바위면.
[아이젠eisen] 빙판길에서 미끄러지 않게끔 등산화창에 차는 발톱 달린 도구.
[안부鞍部] 능선에서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의 움푹 들어간 부분.
[암릉岩稜] 바위로 이루어진 능선.
[암부岩部] 바위가 드러난 부분.
[연봉連峰] 연달아 늘어선 봉우리.
[와폭臥瀑] 완경사로 흐르는 폭포.
[육산肉山] 바위가 드러나지 않은 둥그스름한 윤곽의 산. 골산의 반댓말.
[자일] 로프와 같은 말
[저체온증] 체온이 낮아지며 졸음이 심하게 오는 증상. 겨울 등산중
저체온증으로 의식이 혼미해져 사망에 이르는 사고가 잦다.
[조망眺望] 바라보이는 경치.
[족적足炙] 사람이 밟고 지나간 흔적.
[종주縱走] 능선을 따라 걷는 일.
[지계곡支溪谷]계곡의 원줄기에서 뻗어 나간 가지에 해당하는 계곡. 지류
[지류支流] 계곡의 원줄기에서 뻗어나간 가지 계곡. 지계곡.
[침봉針峰] 바늘처럼 날카롭게 솟은 봉우리.
[카라비나] 암벽등반때 쓰는 쇠고리.
[트래버스] 산을 가로질러 가는 일.
[피나클] 날카로운 봉우리가 연속해 늘어선 능선.
[하상河床] 골짜기나 하천의 바닥.
'자료실 > 등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계절별 명산 안내 (0) | 2012.01.10 |
---|---|
[스크랩] 영남알프스와 영남알프스둘레길 (0) | 2011.07.04 |
[스크랩] 부산근교 가볼만한 산 소개 (0) | 2011.07.04 |
[스크랩] 인기명산 100 (0) | 2011.06.28 |
氣를 살리는 登山법 (0) | 2011.06.16 |